사회

식민지의 조선인 우민화 정책과 현재의 의무(무상)복지

천백십일 2015. 5. 28. 18:06
반응형

오늘 서울신문을 통해, 한국교육개발원이 조사한 무상보육에 대한 지지도 조사가 기사화 되었습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28009011

 

이 조사에 따르면 무상보육이 진행되면 실질적으로 혜택을 보는 저소득 가구, 육아 부담을 덜게 되는 여성들의 지지도가 더 낮다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또, 함께 조사된 대학 무상 교육에 대해서도 저소득층이 지지도가 27% 수준으로 일반 소득가구의 30% 보다 낮게 조사 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그동안 무상, 의무복지가 저소득층에게 더욱 지지를 받을 것 이라는 예상을 뒤엎는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의외의 결과가 아닌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이 들었고, 자연스레 일본제국식민지 시절 교육 정책과 연결 시켜보게 되었습니다.

 

대학 학부시절 보게 된 식민기간 교육정책을 분석한 논문인'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정책의 변화 연구'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충량한 제국신민'(충성스런 식민지 국민)를 양성한다는 계획하에 우민화 교육을 진행하고, '일선동조론' 등을 동원하여 철저하게 식민지가 필요로하는 인간형을 만들려고 했다.


 

당시 일본이 진행한 교육을 보면, 일본의 언어와 역사를 가르치는 것은 물론, 효를 가르치며 일왕에게 복종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주입시켰습니다. 또 실기수업을 통해 당시 수탈했던 쌀과 각 종 물자 생산에 대한 요령을 가르쳤습니다.

 

일부 식민정부에 협조한 조선인들은 고등교육을 통해 식민지 내에서도 일정 권력을 가질 수 있었으나, 대부분 초등 교육만 받은 국민들은 일본이 알려준 지식으로 세상을 판단하게 된 것 입니다.

 

돌아와, 이번 조사를 보더라도 학력이 낮을 수록 교육에 대한 열망이 높아져 의무(무상)복지에 대한 지지를 얻을 것 같지만, 정 반대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결과를 보면 낮은 소득수준, 저학력층이 오히려 정부가 얘기하는 '무상(의무)복지가 늘어나면 나라가 망한다' 라는 주장을 무분별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