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국시거부 의대생, 자신의 선택에 따른 결과 받아들여야

천백십일 2020. 9. 8. 08:46
반응형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정부 정책이 발표되고, 해당 정책이 미비하고 논의 과정에서 당사자인 의사 입장이 배제되었다는 이유로 의사들이 파업을 진행했다. 그와 함께 의대생들도 동맹휴학과 국시거부라는 초강경 대응을 했다.

이후 해당 정책을 재논의하기로 합의하며 파업이 끝났으나, 의대생들의 국시거부에 대한 구제책 마련으로 또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해당 결정은 본인들 스스로 했다는거다. 정부와 의협의 합의문이 나온 것은 9월 4일이었다. 이 시점은 국시 시험 접수가 한차례 연기된 국시접수 마감일 9월 6일 이전 시점이다. 심지어 의대생들은 9월 7일 국시를 거부하겠다는 결의를 다시 했다.

이미 충분한 기회와 시간이 있었음에도 스스로 그 기회와 시간을 챙기지 못 한 것이다. 그러고선 이제와서 본인들 스스로가 아닌 의협을 통해 “국시거부 의대생을 구제해달라” 며 떼를 쓰고 있다.
결정은 본인들이 하고 왜 수습은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것인가? 언제까지 본인들 삶을 부모나 타인에게 챙김 받는 사람이 될 것인가?

국시 구제를 받고 싶다면 본인들이 나서서 정부에 얘기를 하기 바란다.


정부의 두 번째 의사 국가시험(국시) 응시원서 접수기간 연장 조치에 따라 마감 당일이던 6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소속 전국 40개 대학 대표자는 회의를 열어 국시 거부를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 의료 정책에 대한 의대생들의 반발이 그만큼 컸다는 의미다.
당초 정부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집단 휴진(파업)을 주도한 건 전국 대형병원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이었다. 하지만 4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부와 합의에 이른 뒤부터는 ‘예비 의사’인 의대 본과 4학년들의 반발이 거세다. 전 의대협 관계자는 “이번에 그냥 넘어가게 되면 앞으로도 정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하는 선례를 남기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병원의 한 전임의는 “본과 4학년들이 국시를 끝까지 거부한 건 (의협과 정부 간의) 날치기 합의안에 대한 항의”라며 “의대생들은 자신들의 반대 의사를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 국시 거부와 휴학”이라고 했다.

의대생들은 국시까지 거부해 가며 의료정책에 반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의협이 정부와의 합의문에 서명한 것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의료계 내에선 의협과 정부가 합의하고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이 의료 현장 복귀를 결정한 상황에서도 의대생들이 집단행동을 벌일 수 있는 건 환자 진료 회피에 따른 비난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공의나 전임의는 병원에서 환자를 직접 진료하기 때문에 파업에 따른 의료 공백 피해를 모른 척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병원별로 상황은 다르지만 파업에 나섰던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4일 의협과 정부 합의 후 한발 물러난 상황이지만 의대생들은 국시 집단 거부와 함께 동맹휴학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반응형